본문 바로가기
좋은정보 모음

다이어트 할 때 꼭 알아야 할 지식 - 탄수화물의 기능 및 역할

by 오늘의 정보 알려줄까? 2022. 10. 12.
반응형

 

 

 

많은 사람들은 다이어트를 위해 탄수화물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면서 밀가루를 끊거나, 밥을 끊거나 우리가 평생 하지 못할 식습관을 하면서 체중을 감량하고 싶어한다.

이제는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다이어트를 할 때는 아예 단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공부를 하고, 업무를 볼 수 있는 영양소를 섭취해야 한다.

그리고 운동을 하면서 근육량을 늘려야 하고, 운동을 하기 위해 탄수화물을 먹어줘야 하며, 근육을 만들기 위해 단백질 섭취도 신경써야 한다.

그렇다고 지방을 아예 끊을 수 있을까? 우리가 먹는 음식들에는 아주 조금이나마 지방이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좋든 싫든 지방을 섭취하게 되어 있다.

지방 역시 꼭 먹어야 하는 영양소로서,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성분이기도 하며, 원활한 신체 기능 유지를 위한 호르몬의 성분이기도 하다.

오늘은 탄단지 중에서, 탄수화물을 꼭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글을 써보려고 한다. 탄수화물은 우리의 몸을 움직이게 하는 연료 또는 현금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혈당과 포도당 같은 얘기를 들어봤을텐데, 모두 탄수화물이다. 혈당은 혈액에 함유되어 있는 글루코스이며, 포도당은 근육과 간에 저장이 되어 있으며, 신체는 이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서 사용하여 생명 유지를 한다.

탄수화물의 기능은 무엇일까?

1. 빠른 에너지 사용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가장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영양소다. 이 탄수화물은 간, 근육에 저장이 되어 있는데, 우리가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전력질주와 같은 짧은 고강도 운동 시에 에너지원으로 동원된다.

위에서 운동을 통해 근육을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 바로 탄수화물을 먹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근육을 만들기 위한, 운동을 할 에너지원을 얻기 위해서다.

빠른 에너지로 사용이 되면, 많이 먹어서 비축해두면 좋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우리 몸은 포도당을 많이 저장할 수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간과 근육에 소량 저장 되어 있으며, 저장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지방으로 저장을 하게 된다. 과식을 하면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2. 에너지원으로서 단백질 이용을 방지

만약 며칠동안 단식을 하거나 장시간 과격한 운동을 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 몸에 저장되어 있는 탄수화물이 고갈이 되고, 에너지원으로서 포도당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부족한 공급량을 채우기 위해 근육에 있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들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응급처치일 뿐, 이 방법을 지속한다면 체내 근육 조직의 분해가 발생되기 때문에 장시간 할 수 없다. 그리고 체중조절을 위해 탄수화물을 안 먹고, 단백질만 먹는 방법은 비효율적이다.

그 이유는 포도당은 우리 몸을 움직이기 위한 현금 같은 존재다. 이 현금 1g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1.6g이 필요하다. 포도당100g과 단백질100g을 먹으면 되는 것을, 단백질만 먹는다면 260g을 먹어야 한다.

 

 

 

 

3. 뇌의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공부나 업무 시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음

마지막으로, 뇌는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만 사용한다. 지방이나 단백질은 직접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꼭 먹어야 한다.

무리한 단식으로 인해 어지러움증을 느끼거나 업무의 효율이 떨어지고, 집중력이 떨어진 적이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이것은 섭취한 탄수화물의 양이 줄어들어, 원활한 포도당 공급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기 때문에 탄수화물은 정말 중요하다

 

혹시 더 궁금한 사람들은 들어가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532탄단지 다이어트 쉐이크 단백질 보조제 5일 단기 FMD 식사대용 음식 체중조절 식품 : 샐그램

[샐그램] 샐그램 저염식 저칼로리 샌드위치 샐러드 직장인 도시락 배달 정기배송 가정간편식

smartstore.naver.com

 

 

 

 

 

 

반응형

댓글